blue.pe.kr

blue@blue.pe.kr

blue.pe.kr

blue@blue.pe.kr

누리기레기꾼

기레기는 돈 받고 일하고 누리꾼은 돈 벌려 일한다   누리꾼은 기레기 때문에 악플을 달고 기레기는 누리꾼의 악플로 먹고 산다   기레기는 누리꾼이 붙여준 이름이고 누리꾼은 기레기가 사용하는 언어다   그 기레기는 누리꾼의 행동을 퍼오고 그 누리꾼은 기레기의 기사를 퍼간다     #기레기레 #기레기꾼 #누리꾼꾼      

트위터에서 개소리 헛소리 잘하면 인기라던데, 개소리 헛소리는 내가 더 잘하는데, 난 왜 인기가 없을까? 설마 글에서 외모 판독 가능한 방법 있는 걸까?     너무 똑똑하게 웃기면 안 웃김. 조금 멍청해 보여야 웃김. 그런데 멍청하게 웃기면 그냥 멍청해 보임. …그래서 안 뜸. 세상 참 공평하다.        

산수국

서울 예술의전당 앞에서 잠깐 신호에 걸렸을 때 본, 가운데 보라색에 흰색이 어우러진 산수국 참 고귀하게 피어 있더라. 그 짧은 찰나가 이토록 오래 마음에 남을 줄이야.

누리꾼은 기레기 때문에 악플을 달고, 기레기는 누리꾼의 악플로 먹고 산다. 기레기는 누리꾼이 붙여준 이름이고, 누리꾼은 기레기가 사용하는 언어다. 그 기레기는 누리꾼의 행동을 퍼오고,  그 누리꾼은 기레기의 기사를 퍼간다.     

One day, suddenly 어느날, 문득   #어느날문득 #OneDaySuddenly 일상 #갑자기_어느날 #Suddenly_OneDay 문학

중국산 외래종 털파리한테 러브버그라는 이름의 타이틀을 붙이다니, 다소 기만적인 것 같아 불쾌하다. 언론에서 조차도 붉은등우단털파리라는 정학한 학명보다는 낭만화된 작명의 것으로 부르고 있으니, 생태적 경계감마저 무디게 만들고 있는 것 아닌가 한다.

Enjoyed watching. Interesting game. “흥미로운 사진이다” * “That’s an interesting photo.” (가장 일반적이고 직접적인 표현) * “That’s a captivating photo.” (좀 더 강렬하게 매력적이라는 의미) * “That’s quite a compelling image.” (흥미로워서 시선을 뗄 수 없다는 의미) “멋진 사진이다” * “That’s a great photo.” (가장 일반적이고 무난한 표현) * “That’s an amazing photo.” (정말 훌륭하다는.

A는 B입니다. 하지만 A는 B가 아닙니다.   우리나라는 자유 민주주의 국가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자유 민주주의 국가가 아닙니다.      

호박에 말뚝박고 비 오는 날 장독 열고 똥누는 놈 주저 앉히고 상가집 가서 춤추고, 잔치집 가서 재뿌리고

본일휴업 本日休業 금일휴업 今日休業 차이는? 本日休業 정중, 격식 今日休業 일상, 구어  

문을 열면 내가 나오고 입을 열면 욕이 나올랑   맘을 열면 매가 나온다. 사랑의 매

내 주변이 어두워야 별은 더 잘 보인다. 밤하늘을 별을 바라보는 것이 목적이라면, 어둠을 두려워하지 않는 연습이 필요하다.    

人多則非(인다즉비) → 사람이 많으면 탈(시비) 난다. 인다즉비, 덥고 습한 날씨엔 더욱 그렇다. 그러나 짜증의 원인을 날씨 탓으로 돌리면 안된다. 문제는 환경이 아니라 나의 태도에 있다. 기분의 책임을 외부에 떠넘기지 말고, 내가 어떻게 대응할지를 스스로 선택해야 한다.        

우리는 말이 아니야. 우리는 인간이야. 인간은…   ✓   그게 인간으로서의 선택일까, 근거는? 학습된 건 아닐까? 즉흥적인 것은, 본능적인 것은 인간적이지 않다는 말인가? 당신의 선택은 본능인가 학습 효과인가? 이성적인 판단이란?      

오징어게임의 흥행은 — 캐릭터의 소멸. 1탄 게임은 운과 전술. 선악 이분법 캐릭터. 2.3탄은 많은 캐릭터에 약팔이 감성팔이, 그냥 신파극. 박선장은 그렇다 치고. 대대장 박휘순-탈북자 박규영-화가 246번 이진욱은?    

《더 글로리》 1% 한국의 관계사회에서, 관계의 중요성. ✓ 이익이 없으면 관계는 유지되지 않는다. 힘들다. 그럼에도 그 상황에 배신을 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