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대통령과 페미니스트
1. 정치적 권리: 여성 참정권 보장
이승만 정부 시기에 가장 중요한 여성 관련 업적 중 하나는 여성의 참정권 보장입니다.
• 1948년 제헌국회 헌법 제정 과정에서 여성의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보장되었습니다.
• 이에 따라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첫 총선에서 여성들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당시 동아시아 국가들(중국, 일본 등)과 비교했을 때도 상당히 앞선 조치였습니다.
• 1950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임영신, 신벽희 등)이 당선되었습니다.
2. 교육: 여성 교육 기회의 확대
• 1949년 교육법 제정을 통해 남녀 모두 초등학교 교육을 받을 의무를 명확히 함.
• 여성의 중등·고등교육 기회도 확대되어, 이화여대·숙명여대 등 여성 고등교육 기관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됨.
• 문맹 퇴치 운동을 통해 여성의 기초 교육 수준이 점진적으로 향상됨.
3. 여성 노동과 복지
•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 여성과 아동의 노동 환경을 보호하는 법적 장치가 마련됨.
• 야간 노동 및 위험한 업무에 대한 제한.
• 출산 휴가(산전·산후 60일) 보장 조항 포함.
4. 문화와 여성 역할 변화
• 여성 잡지와 미디어(예: ≪여성동아≫)가 등장하면서 여성의 사회적 목소리를 내는 창구가 형성됨.
5. 결론: 법적 권리 보장은 이루어졌지만, 사회적 변화를 주도하진 못함
이승만 정부 시기의 여성 정책은 법적으로 참정권과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했지만, 실질적인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는 더딘 편이었습니다.
즉, 법과 제도를 통해 기본적인 여성 권리는 인정되었지만, 사회적 인식 변화나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은 미흡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2002년 월드컵 기간에도 우리는 식당에 담배를 피우던 나라다. 공중화장실에 휴지도 없어 자판기에서 일회용 티슈를 팔았다. 여전히 화장실 문 잠그고 쓰는 나라. 배달의 민족 맘카페 맘충을 행동을 보면 우리 나라 여성들은 더욱 진보 된 것이 정말 맞나? 혐오에 역차별. 휴전국가. 중국에 노비나 북한에 노예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