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자 큐레이션

창작물

이미 검증된 펌질

게임이 싸움이 되지 않는다

 

왜 큐레이션이 압도적으로 유리한가? (알고리즘 구조적 이유)

1.  시작부터 참여도 폭발
이미 다른 곳에서 10만 좋아요 먹은 영상·짤·텍스트를 리포스트하면, 올리는 순간부터 사람들이 “아 이거 봤어!” 하면서 좋아요·답글·리포스트가 몰려듭니다.
→ 첫 5분 참여도가 창작물의 10~50배 → 알고리즘이 “이건 대박이야”로 판단 → 무한 노출

2.  리스크 제로
창작물은 반응이 안 터지면 완전 묻힘 (0 노출)
큐레이션은 이미 검증된 콘텐츠라 최소 70~80%는 성공 보장

3.  시간 효율 극대화
창작 1개 쓰는 데 13시간 → 큐레이션 10개 고르는 데 30분
→ 하루 2030개 포스팅 가능 → 알고리즘 입장에서는 “활동량 미쳤다”로 인식

 

 

2025년 현재 잘 나가는 큐레이션 계정 유형 Top 5

1.  짤/영상 + 한 줄 코멘트
예: “이 장면 보자마자 현타 온 사람 손”
→ 평균 50만~300만 노출

2.  타임라인 실시간 상황극
예: 뉴스 기사 리포스트하면서 “이게 진짜면 대한민국 끝난 거다”
→ 논란성 = 참여도 폭발

3.  과거 명글/명언 발굴계
예: 2017년 묻혔던 어떤 계정의 1000자 글을 발굴해서 “이걸 8년 전에 썼다고?”
→ 텍스트 창작자들도 좋아요 누름

4.  해외 트렌드 실시간 번역
예: 미국·일본에서 터진 밈을 10분 안에 한국어로 번역해서 올림

5.  분야별 전문 큐레이션
예: “오늘의 경제짤 5선”, “개발자 울리는 채용공고 모음” 등
→ 팔로워들이 매일 기다림 → 충성도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