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악운 피로로, 피로는 무관심으로…

뉴스, SNS, 유튜브 등 모든 콘텐츠가 충격과 자극을 전제로 한다. 결국 더 큰 자극 없이는 반응하지 않게 된다. 이상한 사람이 많은 게 아니라, 이상하다는 기준이 사라진 사회처럼, 비정상적인 일이 주목을 받고 결국엔 이상한 것들만 살아남는다.

모두가 너무 멀리 가 있어서, 중심이 어디인지도 모르겠다. 학교에서 배운 도덕적 상식이 뉴스거리가 된다. 이상하지 않다는 말이 이상하게 들리는 사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