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공자|공공구사|세번째

1. 視思明 (볼 때는 밝게 생각한다)

  • 문자적 의미: 視(보다) + 思(생각하다) + 明(명확·밝음).
  • 확장 해설: 사물을 볼 때 표면만 보고 속을 판단하지 않고, 사물의 본질과 이치를 분명히 보려는 태도입니다. 편견·선입견을 버리고 사정을 명료하게 파악하려는 마음가짐입니다.
  • 현대적 예: 업무 보고나 사람을 평가할 때 감정적으로 섣불리 결론 내리지 않고 자료·정황을 꼼꼼히 확인함.
  • 실천 방법: 관찰한 사실과 자신의 해석을 분리해 적어보기(사실/해석 구분), 여러 관점을 의도적으로 검토하기.

2. 聽思聰 (들을 때는 총명하게 생각한다)

  • 문자적 의미: 聽(듣다) + 思(생각하다) + 聰(총명·귀 밝음).
  • 확장 해설: 말하는 사람의 의도와 맥락을 정확히 파악하려는 집중된 청취. 말의 겉부분뿐 아니라 숨겨진 의미와 진위를 분별하려는 태도입니다.
  • 현대적 예: 회의에서 반박하기 전에 상대의 요지와 근거를 요약해 확인하는 습관.
  • 실천 방법: 적극적 경청(요약·재진술), 질문으로 핵심을 확인하기.

3. 色思温 (얼굴빛은 온화하게 생각한다)

  • 문자적 의미: 色(얼굴빛·표정) + 思(생각하다) + 温(온화).
  • 확장 해설: 외모·표정으로 사람을 불편하게 하지 않도록 온화한 표정을 유지하려는 덕목. 감정표현을 절제해 타인에게 안정감을 준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 현대적 예: 고객 응대나 동료와의 대화에서 차분하고 친절한 표정 유지.
  • 실천 방법: 거울이나 셀카로 표정 점검, 긴장될 때 심호흡으로 표정 부드럽게 만들기.

4. 貌思恭 (용모는 공손함을 생각한다)

  • 문자적 의미: 貌(모양·용모) + 思(생각하다) + 恭(공손).
  • 확장 해설: 외형·태도에서 공손함과 겸손을 드러내라는 의미. 겉모습이 행동과 마음가짐을 반영하므로 절제된 태도 유지가 요구됩니다.
  • 현대적 예: 상사·어르신과 대화할 때 몸가짐과 말투를 정중하게 유지함.
  • 실천 방법: 인사·자세·복장 등 상황에 맞게 점검하고 연습하기.

5. 言思忠 (말할 때는 충실함을 생각한다)

  • 문자적 의미: 言(말) + 思(생각) + 忠(성실·충실).
  • 확장 해설: 말은 진실하고 성의 있게 하라는 뜻. 함부로 거짓·과장·아첨하지 말고, 말의 책임을 질 줄 아는 태도입니다.
  • 현대적 예: 약속한 내용은 지키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솔직히 말함.
  • 실천 방법: 말하기 전에 핵심 메시지를 정리하고, 과장·추측을 피함.

6. 事思敬 (일할 때는 공경을 생각한다)

  • 문자적 의미: 事(일·행동) + 思(생각) + 敬(정중·삼감).
  • 확장 해설: 일을 할 때 경외와 삼가함을 잃지 말라는 뜻. 책임감 있게, 소홀함 없이 임하며 일의 중대성을 인식하라는 의미입니다.
  • 현대적 예: 문서·계약서 작성 시 세세한 부분까지 확인하고 성의 있게 처리함.
  • 실천 방법: 체크리스트 활용, 중요한 일은 동료 점검 요청.

7. 疑思問 (의심날 때는 묻기를 생각한다)

  • 문자적 의미: 疑(의심) + 思(생각) + 問(묻다).
  • 확장 해설: 모르는 게 있으면 스스로 판단하지 말고 질문으로 밝히라는 태도. 의심을 성장의 계기로 삼는 학구적 정신을 강조합니다.
  • 현대적 예: 모호한 지시를 받았을 때 그대로 실행하지 않고 확인 질문을 함.
  • 실천 방법: 궁금한 점은 체크리스트로 모아 즉시 또는 정해진 시간에 질문하기.

8. 忿思難 (성낼 때는 어려움을 생각한다)

  • 문자적 의미: 忿(분노) + 思(생각) + 難(어려움·결과).
  • 확장 해설: 화가 날 때 감정에 휩쓸리지 말고 화내는 결과와 파급효과를 먼저 생각하라는 권고. 분노의 즉시 표출이 초래할 손해를 고려하라는 의미입니다.
  • 현대적 예: 업무상 충돌 시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잠시 시간을 둔 뒤 대화창구를 선택함.
  • 실천 방법: 분노를 느낄 때 10초 호흡·메모로 감정 정리 후 대응.

9. 見得思義 (이익을 볼 때는 의(義)를 생각한다)

  • 문자적 의미: 見(얻다·보다) + 得(얻음) + 思(생각) + 義(의로움·도리).
  • 확장 해설: 개인적 이익을 얻을 때 윤리적·사회적 정당성을 먼저 고려하라는 뜻. 이익 자체보다 옳고 그름(義)을 우선해야 공인(公認)되는 행동이 됩니다.
  • 현대적 예: 이익이 되는 결정이라도 법적·도덕적 문제가 있으면 거부하거나 재검토함.
  • 실천 방법: 의사결정 시 ‘윤리 체크리스트’ 또는 이해관계자 영향 분석을 수행.